필자의 DNS레코드 페이지이다. 일단 가볍게 DNS 레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DNS 타입은
레코드 | 설명 |
NS |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 |
MX | 도메인의 MX(Mail Exchange) 서버 |
A | 호스트의 IP주소 |
CNAME | 별칭(Canonical Name) |
SOA | 도메인의 Start of Authority(시작점) |
HINFO | 호스트의 CPU 정보와 운영체제 정보 |
MINFO | 메일박스와 메일리스트 정보 |
PTR | IP주소에 대한 호스트명 |
TXT | 호스트에 대한 텍스트 정보 |
UINFO | 사용자 정보 |
ANY |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레코드들의 정보 |
이렇게 있으며 필요한 타입대로 사용하면 되는데 필자는 A레코드와 MX와 CNAME 말고는 쓸일이 없더라...
그리고 서브도메인이란 도메인에 발급되는 보조도메인이다.
쉡게 설명하면
a.com의 서브도메인을 등록을 하였다 . 도메인은
a.com의 서브도메인을 등록을 하였다 . 도메인은
www.a.com
m.a.com
iiiii.a.com
이렇게 서브도메인 붙이고 원하는 쪽으로 레코드를 붙여주면 된다.
----------------------
레코드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은 플랜을 선택을 해야하는데

주소는 https://www.cloudflare.com/plans/
여기서 각 플랜을 확인하고 원하는 플랜을 선택을 한다.
필자는 단 한번도 Ddos를 맞은적이 없어서 Free plan으로 진행하였다

도메인 구매처에서 네임서버를 확인하고 클라우드플레어가 지정해준 네임서버대로
DNS를 설정해줍니다. 자고로... 특별한일이 아니면 바꾸라는 네임서버의 주소는 바뀌지 않는다 . 아무래도 계정당 할당되는 네임서버가 있는듯....

등록이 완료되면 Status가 Pending이라고 나오는데 네임서버를 바꾸고 시간을 조금 두고 기다리면 status가 Active로 변경이 되면 정상적으로 된다 바로 이렇게...

이렇게 나오면 완료다.
자고로 도메인 네임서버를 확인하려면 리눅스에서 jwhois를 받아서 설치한다음 후이즈를 조회를 하던가 http://whois.kisa.or.kr/kor/ 에서 조회하면 될것 같다.
이렇게 서브도메인 붙이고 원하는 쪽으로 레코드를 붙여주면 된다.
----------------------
레코드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은 플랜을 선택을 해야하는데
주소는 https://www.cloudflare.com/plans/
여기서 각 플랜을 확인하고 원하는 플랜을 선택을 한다.
필자는 단 한번도 Ddos를 맞은적이 없어서 Free plan으로 진행하였다

도메인 구매처에서 네임서버를 확인하고 클라우드플레어가 지정해준 네임서버대로
DNS를 설정해줍니다. 자고로... 특별한일이 아니면 바꾸라는 네임서버의 주소는 바뀌지 않는다 . 아무래도 계정당 할당되는 네임서버가 있는듯....

등록이 완료되면 Status가 Pending이라고 나오는데 네임서버를 바꾸고 시간을 조금 두고 기다리면 status가 Active로 변경이 되면 정상적으로 된다 바로 이렇게...

이렇게 나오면 완료다.
자고로 도메인 네임서버를 확인하려면 리눅스에서 jwhois를 받아서 설치한다음 후이즈를 조회를 하던가 http://whois.kisa.or.kr/kor/ 에서 조회하면 될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